민방위정보
- 홈
- 분야별 민원
- 민방위ㆍ기타
- 민방위정보
- 민방위훈련
민방위 훈련
- 훈련 총괄(8회)
분야 |
훈련 규모 |
횟수 |
시기 |
훈련 내용 |
재난 대비 훈련(6회) |
전국단위 |
4 |
3월, 5월, 9월, 10월 |
∙ 전국 화재 대피 훈련 ∙ 을지태극연습 연계, 민방공 대피 훈련 ∙ 안전한국훈련 연계, 지진 대피 훈련 ∙ 지역특성화훈련 |
시·군·구 단위 |
2 |
4월, 7월 |
∙ 지역특성화 재난 대비 훈련 |
|
주민 대피 훈련(2회) |
시·도 단위 |
2 |
6월, 10월 |
∙ 충무훈련 연계, 주민 대피 훈련 ※ 충무훈련 : 상반기(6월), 하반기(10월) |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민방공 경보 발령시 행동요령
훈련 경보 발령 |
|
◦ 전국적으로 동시 경보 발령(중앙민방위경보통제소와 협의) ◦ 경보음을 듣고 상황 판단 및 행동요령 실습 - 경계경보(1분 평탄음) : 공격이 예상될 때 - 공습경보(3분 파상음) : 공격이 임박하거나 진행 중 일 때 |
|
|
|
방호 국민행동요령 숙달 |
|
◦ 민방위 대원 훈련 참여 독려 및 임무 수행 훈련 실시 ※ 화생방 관련 분대 동원 및 임무 수행 훈련 추진 ◦ 지하철역, 지하 주차장 등 지하로 대피하여 방호 행동요령 실습 ◦ 공격 유형별 대피 행동요령 숙달 [화학 공격] ∙ 실외 : 고지대나 고층 건물의 상층부(7층 이상)로 대피 ∙ 실내 : 문을 닫고 외부 공기 유입 차단 ∙ 방독면 등으로 호흡기 및 피부 보호 조치 [생물학 공격] ∙ 화생방 방독면, 손수건 등으로 호흡기를 보호 ∙ 비오염 지역으로 대피 후 외부 공기 유입 차단 [핵무기 공격] ∙ 대피소 또는 지하시설로 대피 ∙ 핵폭발 반대방향으로 배가 바닥에 닿지 않게 엎드린 상태에서 양손으로 감은 눈과 귀를 막고, 입은 벌리기 |
|
|
|
「내 주변 대피소 찾기」 훈련 및 차량 통제 |
|
◦ 주민은 「내 주변 대피소 찾기」 훈련을 통해 주변 대피소 위치 및 이동 경로 확인 ◦ 지자체는 주민 밀집지역에 중점대피구역(주요 사거리 등)을 ◦ 차량 통제 훈련 실시(14:00∼14:05) ※ 시·군·구 주요구간 지정 후 시범 훈련 ◦ 운행 중인 차량은 긴급 차량 비상차로 확보를 위해 도로 오른쪽에 정차한 후 시동을 끄고 라디오 방송 청취 |
|
|
|
안전 교육 |
|
◦ 방독면 사용법, 심폐소생술 등 실습 교육 강화 ◦ 공격 유형별 대피 행동요령 교육 ◦ 재난안전포털, 안전디딤돌 앱 소개 및 설치·활용법 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