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건강관리사업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 구분, 내용 구분 | 내용 |
대 상 |
거동이 불편하거나 스스로 자기관리가 되지 않는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독거노인, 결혼이민자, 거동불편 만성 질환자 등 관내 대상자 |
목 적 |
의료취약계층 인구 중 건강 위험요인이 큰 취약가정의 건강격차 해소와 건강형평성 제고를 위한 방문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심뇌혈관질환관리, 만성퇴행성질환, 구강질환 등에 대한 관리로 건강증진 도모 |
사업방법 |
방문간호사의 가정 방문 후 기초조사를 통한 대상자 등록 및 방문간호 서비스 제공 - 지역 담당제 실시(읍, 면 지역)
- 건강면접조사표를 이용한 건강 위험 요인 및 건강문제와 증상 조절 여부를 조사하고 방문 요구에 따라 군을 분류하여 방문 간호사가 가정방문을 통하여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
|
사업내용 |
- 건강행태개선, 만성질환관리 및 합병증 예방, 생애주기별 건강상태별 문제관리
- 보건교육, 상담, 정보제공
- 의료, 복지행정지원 및 기타연계 등
|
문의전화 |
방문보건팀(방문건강관리) 053-668-3113 |
AI·IoT기반 어르신건강관리사업
AI·IoT기반 어르신건강관리사업- 대상, 목적, 사업방법, 사업내용, 문의전화 대 상 | - 허약·만성질환 관리 및 건강관리 행태 개선이 필요한 65세 이상 관내 어르신
|
목적 | - 어르신 친화형 AI·IoT기반 비대면 건강관리서비스 제공을 통한 지역사회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의 효율적 확대
|
사업방법 | - 블루투스 기반 건강측정기기와 전용 사용자 앱을 통해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및 관리
|
사업내용 | - 손목 활동량계(스마트워치) 제공
(필요시 블루투스 체중계,혈압계·혈당계, AI생활스피커 배부)
- 전용 사용자 앱을 통해 건강실천과제, 건강교육 등을 통한 6개월간의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
문의전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