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분분갈이

  1. 농업기술정보
  2. 농촌생활정보
  3. 화분분갈이

분갈이의 필요성

화분에 심어진 식물은 한 자리에 몇 년씩 두면 화분 속에 뿌리가 자라나갈 곳이 없으므로 위로 솟아오르거나 화분벽 둘레에 타레를 틀며 엉키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배수공으로 마구 뻗어 나가기도 한다. 이렇게 되면 식물은 물과 거름의 흡수기능을 상실하고 나아가서는 썩어 버린다. 따라서 이와 같은 노화현상이 일어나기 전에 이전보다 조금 큰 분에 새로운 배합토를 이용하여 분갈이를 해주어야 한다.

분갈이 횟수

베고니아처럼 생육이 극히 빠른 식물은 1년에 여러 번 하는 수도 있으나 대부분 한 번만 한다. 그러나 난류같이 생육이 더딘 것은 2~3년에 한 번으로도 족하다. 온실에서는 매년 분갈이를 하지만 집안에서 기른 경우에는 1년을 더하여 2년에 한번 하는 등 뿌리, 잎, 줄기상태를 봐서 분갈이의 필요유무를 정한다.

분갈이의 적기

온대성 관엽(팔손이, 엽란, 식나무, 자금우, 마삭줄)은 3~4월에 하지만 열대성 관엽은 5~6월에 외기 온도가 15℃이상 되고 온도가 상승하는 시기에 하는 것이 좋다. 분갈이는 식물에 대해서 대수술에 해당하므로 이 시기가 상처를 아무는 데 좋은 시기이기 때문이다. 분갈이 후에는 맞바람을 피하고 반그늘에서 2주 정도 두었다가 착근 후 제자리에 내놓되 착근까지는 비료분을 주지 않도록 한다.

분갈이 순서

분갈이 순서 - 순서 , 사진
순서1. 화분둘레를 쳐서 식물체를 빼낸다. 2. 뽑아낸 식물체의 뿌리를 정리한다 3. 조금 큰 화분에 새로운 흙을 사용하여 심은 뒤에 바로 물을 준다.
이미지순서이미지1 순서이미지2 순서이미지3

이식 후의 관리

심고 나서는 충분히 물을 주고, 바람이 없는 반 그늘진 곳에서 2주일 정도 두고 착근을 기다린다. 그동안 관수는 마르지 않을 정도로 하고 습기는 충분히 높여준다.

그 밖의 주의

이식할 때 잎이 너무 많은 것은 뿌리처럼 일부를 잘라 버린다. 시비는 분갈이 2개월 후부터 하고 화분은 식물체에 비해 너무 큰 것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화분의 흙만들기

비옥한 흙 5, 부엽토 3, 모래 2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요즘은 꽃의 종류에 따라 가까운 화원에서 상토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분의 물주기

화분에 물을 줄 때는 한번에 끝내는 것보다는 여러 번에 조금씩 주는 것이 좋다. 계절이나 날씨에 따라 물주기의 양을 가감한다. 겨울에는 다량의 물을 주면 분토의 온도가 내려가서 동해를 입거나 뿌리썩음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물주기의 횟수를 적게 한다. 여름에는 흙이 마르기 쉬우므로 충분한 물을 준다.

퇴비

흙을 부드럽게 하고 비료의 분해를 돕기 위해서는 중요한 재료다. 볏짚, 낙엽, 야채부스러기 등에 물을 뿌려서 썩인 것이다. 도중에 한번 뒤집기를 해 두면 100일 정도면 완숙한다. 비를 맞지 않도록 비닐로 씌워 둔다. 3.3㎡당 1.5~2㎏정도 혼합하면 충분하다.
자료관리 담당자
농촌지도과
전화번호
053-668-3212
최근자료수정일
2018.07.31

현재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만족도